네이버톡톡
통합검색
사이트에 등록된 모든 정보의 검색결과 입니다.
전체검색 카테고리검색 게시판검색 게시판검색

백과사전 검색결과 (9,197건) NAVER OpenAPI

조선 중기에, 승문원정자, 예문관검열 등을 역임하였으며,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영남의병대장으로 추대되어 항쟁한 문신·의병장. [개설] 본관은 광산(光山). 자는 달원(達遠), 호는 근시재(近始齋)
조선 중기에, 상주목사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예안(禮安). 자는 사회(士晦), 호는 설송(雪松). 김수손(金首孫)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김사창(金泗昌)이고, 아버지는 김반천(金半千)이며,
가야는 우리 고대사 최대의 미스터리 중 하나다. 하늘에서 내려온 김수로왕, 인도에서 건너온 허왕후, 5세기 이후 사라진 지배층과 고대 일본의 관계 등 신비와 비밀로 가득하다. 문헌과 유적, 유물
김해는 흔히 ‘가야 500년의 고도’, ‘2000년 역사 도시’ 등으로 불린다. [삼국유사] ‘가락국기’ 편에 보면 서기 42년에 수로왕이 김해지역에 가락국을 창건한다. 가야연맹의 맹주국이 된 가락국
[정의] 조선 후기 부안 출신의 문신. [가계] 김해(金垓)[1563~1637]의 본관은 부안(扶安)이며, 자는 여후(汝厚), 호는 퇴우당(退憂堂)이다. 문정공(文貞公) 김구(金坵)의 후손으로, 증조할아버지는 기묘
[정의] 조선 후기 상주 지역에서 활동한 학자. [가계] 김해(金楷)[1633~1716]의 본관은 안동(安東)이며, 자는 정칙(正則), 호는 부훤당(負暄堂)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군수를 지낸 김집(金緝)이고, 할아버
[정의] 조선 중기 충청남도 공주 출신의 무신. [가계] 본관은 예안(禮安). 자는 사회(士晦), 호는 설송(雪松)이다. 아버지는 행영흥도호부사(行永興都護府使)를 지낸 김반천(金半千)이다. [활동사항] 1
[정의] 조선 후기 안동 출신의 유생. [가계]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정칙(正則), 호는 부훤당(負暄堂). 고조할아버지는 김시좌(金時佐)이고, 아버지는 김광호(金光灝)이다. 어머니는 청주정씨로 정
[정의] 조선 중기 안동 출신의 문신이자 의병장. [가계] 본관은 광산(光山). 자는 달원(達遠), 호는 근시재(近始齋). 아버지는 참봉 김부의(金富儀), 어머니는 안동권씨(安東權氏)로 정랑 권습(權習)의
근시재 선생(近始齋先生) 김공(金公, 김해)이 세상을 떠난 지 이미 93년이 되었다. 어느날 선생의 손자 성균관 진사[國子上庠] 김면(金愐)이 가문에 전래한 문적을 가지고 나에게 찾아와 말하기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