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주
|
| [현재의 위치와 범위] 읍치 위치 : 하남시 교산동 → 1626년 : 광주시 중부면 산성리 고을 범위 : 광주시 시내(시), 곤지암읍(곤), 남종면(남)-금사리·삼성리·이석리, 도척면(도), 오포읍(오), 중부면(중 |
|
|
광주
|
| 광주(光州)와 광산(光山)은 찬란한 햇빛으로 표현되는 번영의 고장이다. 이집(李集)의 시에 ‘광주는 남쪽 나라의 웅장한 번진’이라 했고, 성현(成峴)의 기문에 ‘광산은 모이는 곳에 연유하여 큰 |
|
|
광주
|
| 발해시대의 지방행정구역. [내용] 『신당서』에 기록되어 있는 62주(州) 중의 하나이다. 철리부(鐵利府)에 속하나, 그 위치와 속현(屬縣)은 알 수 없다. |
|
|
|
|
광주 (광주)
|
| [정의] 고려 태조 왕건이 후백제를 멸망시킨 후 940년 무주에서 개칭한 이름. [개설] 광주(光州)는 종래 백제의 무진주라는 명칭에서 통일신라 경덕왕대에 무주라고 불렸으며, 신라 9주의 하나로서 |
|
|
광주광역시
|
| 전라남도 중북부에 위치한 광역시. [개관] 동쪽은 담양군, 서쪽은 함평군, 남쪽은 나주시, 화순군, 북쪽은 장성군과 접하고 있다. 위치는 동경 126°38'∼127°00'34', 북위 35°03'∼35°15'이다. 면적은 501.18 |
|
|
광주, 그 영원한 도시
|
| 광산(광주의 옛 이름)은 전라도의 거읍(居邑)이다. 신숙주의 희경루(喜慶樓) 기문에 “광주는 서쪽으로 나주와 통하고 풍토와 기후가 넓고 시원하여 예로부터 경치가 이름난 마을이 많고, 또 높은 |
|
|
호남 지방의 중심 도시, 광주광역시
|
| 광주는 전라남도 중북부에 있는 대도시로서 호남 지방의 행정, 산업, 교육, 문화의 중심지예요.통일 신라 시대에는 무진주라고 했는데, 이곳에서 견훤이 후백제를 일으킨 것으로 유명하지요. 광주 |
|
|
|
|
무등산을 바라보다
|
| 광주는 신숙주의 희경루 기문에 “서쪽으로 나주와 통하고 풍토와 기후가 넓고 시원하여 예로부터 경치가 이름난 마을이 많고, 또 높은 벼슬을 지낸 사람도 많았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광주시는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