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광역시
|
대한민국의 남서부에 위치한 전라남도의 중북부에 있는 광역시. 대한민국의 남서부에 있는 전라남도의 중북부, 경도상으로는 동경 126˚ 38´ 35˝~127˚ 00´ 34˝, 위도상으로는 북위 35˚ 03´ 13˝~35˚ 15´ 2 |
|
광주
|
[현재의 위치와 범위] 읍치 위치 : 하남시 교산동 → 1626년 : 광주시 중부면 산성리 고을 범위 : 광주시 시내(시), 곤지암읍(곤), 남종면(남)-금사리·삼성리·이석리, 도척면(도), 오포읍(오), 중부면(중 |
|
광주
|
광주(光州)와 광산(光山)은 찬란한 햇빛으로 표현되는 번영의 고장이다. 이집(李集)의 시에 ‘광주는 남쪽 나라의 웅장한 번진’이라 했고, 성현(成峴)의 기문에 ‘광산은 모이는 곳에 연유하여 큰 |
|
광주
|
광산에서 갱내의 천반 혹은 상반을 지지하고, 갱도의 채굴막장을 안전하게 유지하기 위해 채굴하지 않고 남겨 둔 광체부분. 광체는 가스나 물이 갱내 전역에 확산하거나, 폭발에 의한 압력·화재가 |
|
광주
|
발해 지방행정구역 62주 중의 하나. 발해는 전국을 5경(京) 15부(府) 62주로 나누어 다스렸다. 광주는 15부 중의 하나인 철리부(鐵利府)에 속해 있었다. 속현(屬縣)과 위치는 알 수 없다. |
|
광주
|
발해시대의 지방행정구역. [내용] 『신당서』에 기록되어 있는 62주(州) 중의 하나이다. 철리부(鐵利府)에 속하나, 그 위치와 속현(屬縣)은 알 수 없다. |
|
|
광주 (광주)
|
[정의] 고려 태조 왕건이 후백제를 멸망시킨 후 940년 무주에서 개칭한 이름. [개설] 광주(光州)는 종래 백제의 무진주라는 명칭에서 통일신라 경덕왕대에 무주라고 불렸으며, 신라 9주의 하나로서 |
|
광주시
|
경기도의 중앙부에 있는 시. 경기도의 중앙부, 경도상으로는 동경 127˚ 08'~127˚ 26', 위도상으로는 북위 37˚ 15'~37˚ 33'에 위치한다. 동쪽으로는 여주시·이천시, 서쪽으로는 성남시, 남쪽으로는 용인시 |
|
광주광역시
|
전라남도 중북부에 위치한 광역시. [개관] 동쪽은 담양군, 서쪽은 함평군, 남쪽은 나주시, 화순군, 북쪽은 장성군과 접하고 있다. 위치는 동경 126°38'∼127°00'34', 북위 35°03'∼35°15'이다. 면적은 501.18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