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수 (서효인 시집)
|
서효인 저 | 문학과지성사 | 20170214
|
원 → 7,200원
|
겨우 다스린 역마 기억과 반성으로 씌어진 우리 곁, 거리의 역사시인 서효인의 세번째 시집 『여수』. 제30회 김수영 문학상을 수상한 『백 년 동안의 세계 대전』 이후, 6년 만에 선보이는 시집이다. 분노를 비틀어 뿜어내며 오늘의 소년소녀들에게 메시지를 투척하던 첫 시집과, 세계 곳곳에서 일어난 정치·경제·사회적 폭력의 지도를 그려내던 두번째 시집이 마그마처럼 들끓고 있었다면, 이번 시집은 상온에 가깝다. 서효인이 그려온 시의 궤적으로 미루어보자면, 이 변화는 앞으로도 오래도록 이어질 폭력의 세계에 응전하기 위한 대안 모색이자 일종의 시적 성장일 것이다. 끓는점을 높이고 깊이를 더한 『여수』에서 시인은 ‘역사의 공간화’를 시도한다. 하나의 공간을 두고 과거와 현재가, 사적인 기억과 공적인 역사가 겹쳐지면서, 서효인이 스쳐간 어딘가는 객관적 ‘공간’이기를 멈추고 새로운 의미를 획득하여 유일무이한 ‘장소’가 된다.
|
국제표준 도서번호(ISBN) : 9788932029825
|
|
|
|
여수 (오시영 시집)
|
오시영 저 | 황금알 | 20120630
|
원 → 7,200원
|
오시영 시인이 1998년 〈현대시학〉에서 시로 등단한 지 14년 만에 묶은 첫 시집. 소박하면서도 질박한 감각의 사유를 육화하여 세상의 대상들을 시인의 삶과 언어로 묶어 하나 되는 아름다운 열매를 이루었다. 여수의 풍경이자 아픔, 아름다움, 그리움의 정서를 언어 속에 펼쳐내고 있다.
|
국제표준 도서번호(ISBN) : 9788997318162
|
|
|
|
2021 여수시 섬 변천사 2
|
여수시 저 | 휴먼컬처아리랑 | 20210525
|
원 → 25,200원
|
화정면의 이름은 1896년 돌산을 중심으로 한 섬 지역이 군이 되면서 개도에 면소재지를두었던 동쪽의 ‘화개면’과 적금도에 소재지를 두었던 ‘옥정면’이 1914년 일제식 행정구역의개편으로 통합되면서 ‘화정면’이라는 이름을 처음 갖게 되었다. 이전의 이름인 ‘화개(華蓋)’와 ‘옥정(玉井)’은 개도의 주산인 ‘화개산’의 이름과 백야도에 있었던 ‘옥정’이라는 유명한 우물의 이름에서 유래가 되었다.
화정면의 소재지가 있는 ‘백야도’는 화양면의 남쪽 땅 끝인 ‘힛도’와 연륙된 섬이다. 힛도는 백야도의 우리말 이름인 ‘희섬’(주봉 정상의 바위들이 하얀 색을 띄어서 섬이 하얗게 보여서 지어진 이름으로 ‘흰 섬’이 변한 말이다.)과, 섬과 섬이나 육지 사이에 물살이 빠른 곳을이르는 해양지명 ‘도’가 합쳐져 힛도라고 부르는 좁은 해협(海峽)이다. 산의 하얀 색 바위의 모습이 포효하는 호랑이를 닮았다고 해서 ‘백호산’이라는 이름을갖게 되었으며, 이 때문에 백야도를 ‘백호도’로 기록하기도 했다.
?
|
국제표준 도서번호(ISBN) : 9791165371449
|
|
|